카자흐스탄의 경제
카자흐스탄 경제 동향
ㅇ 카자흐스탄은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한 개혁·개방 정책의 지속 추진과 카스피해 원유개발 등 원유·가스 산업의 발전을 바탕으로 2000년 이후 10% 수준의 고도 경제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바, 카자흐스탄의 빠른 경제성장은 원유, 가스, 우라늄 등 카자흐스탄이 풍부히 보유하고 있는 국제원자재 가격의 상승, 에너지 자원 개발 등을 목적으로 한 외국인직접투자의 급속한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됨.
- 카자흐스탄 정부는 원유자원 매장량을 세계 7위 수준으로 산정하고 있으며, LA Times는 미국 추정매장량의 5배에 달한다고 보도
- 우라늄, 금, 은, 구리, 아연, 망간 등도 세계 10위내 매장량을 가지고 있으며, 알루미늄, 티타늄, 크롬, 니켈 등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매장량을 보유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5년까지의 '산업혁신전략'을 바탕으로 원유산업 발전뿐만 아니라 석유화학, IT, BT 등 신기술 분야를 포함한 차세대 성장 동력 마련에도 적극 노력하고 있음.
- 또한, 2007년도 WTO 가입을 목표로 금융서비스, 관세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하는 등 시장경제 확립 및 경제 투명성 제고를 위한 국가 노선을 유지
ㅇ 2005년도 카자흐스탄 경제는 국제유가 상승, 외국인직접투자 및 고정설비 투자 증가, 건설업 등의 호조를 바탕으로 전년대비 9.4% 증가하였으며, 지난 2000년 이후 지속적인 고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주요 경제지표
연 도 구분 (단위)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G D P |
명목 (10억텡게) (백만미불) 실질성장율(%) GDP per capita |
3,776 (24,599) 9.8% 1,614$ |
4,612 (30,860) 9.3% 2,026$ |
5,870 (43,152) 9.6% 2,833$ |
7,453 (56,088) 9.4% 3,682$ |
8,974 (70,664) 8.3% 4,639$ |
10,016 (82,779) 7.7% 5,434$ |
11,210 (93,806) 7.6% 6,158$ |
12,604 (106,365) 7.6% 6,983$ |
|
인플레이션(%) |
6.6 |
6.8 |
6.7 |
7.5 |
8.2 |
7.8 |
7.4 |
6.8 |
||
무역 |
계(백만불) |
18,067 |
22,787 |
34,421 |
46,280 |
57,783 |
63,501 |
68,392 |
73,842 |
|
수 출 |
10,027 |
13,233 |
20,603 |
28,301 |
35,625 |
38,484 |
41,270 |
44,782 |
||
수 입 |
8,040 |
9,554 |
13,818 |
17,979 |
22,158 |
25,017 |
27,122 |
29,060 |
||
무역수지 |
1,987 |
3,679 |
6,785 |
10,322 |
13,467 |
13,472 |
14,148 |
15,722 |
||
총외채 (백만불) (GDP대비 %) |
18,252 74.2% |
22,920 74.3% |
31,941 74.0% |
41,516 74.0% |
- 69.4% |
- 63.9% |
- 60.3% |
- 56.5% |
||
FDI(백만불) (GDP대비 %) |
2,164 8.8% |
2,213 7.2% |
5,392 12.5% |
1,721 3.1% |
2,281 3.2% |
2,235 2.7% |
2,167 2.3% |
2,300 2.2% |
||
재정수지 (GDP 대비 %) |
1.4 |
2.9 |
2.6 |
6.0 |
5.6 |
3.3 |
2.6 |
2.6 |
||
실 업 율(%) |
3.6 |
1.8 |
1.5 |
0.6 |
- |
- |
- |
- |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국립은행)
무역상대국:
대외 교역은 원유·비철금속 등 광산물 수출, 기계장비 수입 등을 중심으로 2004년도에 전년 대비 54% 증가하였으며, 2005년에도 전년동기 대비 37.5% 증가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ㅇ 주요 수출국(비중) : 스위스(19.8%), 이태리(15%), 러시아(10.5%), 프랑스(9.6%), 중국(8.72%) 등
ㅇ 주요 수입국(비중) : 러시아(38%), 독일(7.5%), 중국(7.2%), 미국(6.9%), 크라이나(4.9%), 이태리(3.9%), 일본(3.5%), 한국(1.5%) 등
ㅇ 카자흐스탄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 중앙아 투자액 누계중 약 80%가 유치됨.
카자흐스탄 대외교역 규모 (단위: US$)
구분 |
교역량(증가율) |
수출(증가율) |
수입(증가율) |
교역수지(증가율) |
2004년도 |
328.77억(54%) |
200.96억(56%) |
127.81억(52%) |
+73.15억(62%) |
2005년도 |
452.01억(37.5%) |
278.49억(38.6%) |
173.52억(35.8%) |
+104.96억(43.5%) |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연 도 투자액 (단위) |
96 |
97 |
98 |
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외국인직접투자(백만불) |
1,673.7 |
2,106.9 |
1,232.8 |
1,852.1 |
2,781.2 |
4,556.6 |
4,105.8 |
4,595.7 |
8423.7 |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최근년도 경제지표
구 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G D P |
9.4% 증 |
9.4% 증 |
8.3% 증(잠정집계) |
산업생산 |
10.1% 증 |
4.6% 증 |
0.5% 증 (2006.1월기준 전년동기대비) |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 (이상 2005-2008년 자료)
석유를 비롯하여 많은 지하자원을 가지고 있는 자원부국으로서,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매년 15-20%씩 늘어나고 있는 석유생산
및 이에 따른 경제활성화에 따라 2000년이후 연평균 10%에 달하는 경제성장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향후 15년간 석유·가스개발분야에만
650-700억불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앞으로도 계속 활발한 경기상승이 예상됩니다.
현재 카자흐스탄의 경제구조는 피라미드형이 아닌, 상류층과 하류층의 극단적인 이분구조이다. 상류층의 경우 한국의 상류층과 비슷한 정도의 소득을 올리고 있으며, 하류층의 경우 많게는 $300 정도의 수입을 가지고 생활하고 있다. 식료품의 경우 한국보다 싼 편이나, 그 외의 모든 물가는 한국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한국보다 비싼 경우도 있다. 자본주의가 유입되면서 서서히 중산층이 생겨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하나의 계층이 생겼다고 평가할 수 없는 상황이다. 2000년 현재 경제성장률은 9.6%이고 수출은 91억 4000만 달러, 수입은 50억 5000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품은 연료·석유제품,철,동 및 동제품이고 수입품은 기계류,연료·석유제품,전기제품 등이다. 카자흐스탄은 구소련연방 붕괴 후 어려운 상황 속에서 민영화 등을 중심으로 한 경제개혁을 추진하였고,1997년과 1998년에 2년 연속 플러스성장을 이루는 등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다. 1998년에는 농업 및 중공업의 침체, 러시아의 금융 위기에 의하여 다시 마이너스성장으로 바뀌었지만 1999년 플러스 성장으로 올라섰다. 2002년 까작스딴의 국내 총생산(GNP)은 3조 7천 4백 72억 텡게를 기록했다. (2001년에 비해 9.5%나 증가) GNP의 성장은 산업에서 9.8% 농업에서 2.7% 건축에서 19.3%의 생산성 증가에 의해 비롯되었다. 2004년에 카자흐스탄 국민총생산(GNP)이 7%나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1인당 GNP는 2135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지난 9일 아스타나에서 열린 정부 회의 도중 카이라트 켐림베토브 경제 및 예산기획부 장관이 내년 공화국 예산안을 제출하면서 밝혔다. 켈림베토브 장관에 따르면 국가 예산을 편성할 때 국제원유가를 배럴당 20내지 28달러로 고려했다고 한다. |
카자흐스탄 경제 보고서 (2002년 보고서)
1. 경제환경
2. 경제정세 가. 개관
나. 주요경제 지표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다. 2001년도 평가
3. 아국과의 무역.경제관계 가. 연도별 무역현황
(단위 : 천불)
<한국 관세청 자료>
나. 진출기업 현황
(2) LG전자 법인
(3) 신동아 TEA 공장
(4) USKO
(5) 대우자동차
(6) 기 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