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의 경제

카자흐스탄 경제 동향

ㅇ 카자흐스탄은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한 개혁·개방 정책의 지속 추진과 카스피해 원유개발 등 원유·가스 산업의 발전을 바탕으로 2000년 이후 10% 수준의 고도 경제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바,  카자흐스탄의 빠른 경제성장은 원유, 가스, 우라늄 등 카자흐스탄이 풍부히 보유하고 있는 국제원자재 가격의 상승, 에너지 자원 개발 등을 목적으로 한 외국인직접투자의 급속한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됨.

- 카자흐스탄 정부는 원유자원 매장량을 세계 7위 수준으로 산정하고 있으며, LA Times는 미국 추정매장량의 5배에 달한다고 보도

- 우라늄, 금, 은, 구리, 아연, 망간 등도 세계 10위내 매장량을 가지고 있으며, 알루미늄, 티타늄, 크롬, 니켈 등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매장량을 보유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5년까지의 '산업혁신전략'을 바탕으로 원유산업 발전뿐만 아니라 석유화학, IT, BT 등 신기술 분야를 포함한 차세대 성장 동력 마련에도 적극 노력하고 있음.

- 또한, 2007년도 WTO 가입을 목표로 금융서비스, 관세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하는 등 시장경제 확립 및 경제 투명성 제고를 위한 국가 노선을 유지


ㅇ 2005년도 카자흐스탄 경제는 국제유가 상승, 외국인직접투자 및 고정설비 투자 증가, 건설업 등의 호조를 바탕으로 전년대비 9.4% 증가하였으며, 지난 2000년 이후 지속적인 고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주요 경제지표  

 

          연 도

구분 (단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G

D

P

 명목 (10억텡게)

         (백만미불)

실질성장율(%)

GDP per capita

3,776

(24,599)

9.8%

1,614$

4,612

(30,860)

9.3%

2,026$

5,870

(43,152)

9.6%

2,833$

7,453

(56,088)

9.4%

3,682$

8,974

(70,664)

8.3%

4,639$

10,016

(82,779)

7.7%

5,434$

11,210

(93,806)

7.6%

6,158$

12,604

(106,365)

7.6%

6,983$

인플레이션(%)

6.6

6.8

6.7

7.5

8.2

7.8

7.4

6.8

무역

계(백만불)

18,067

22,787

34,421

46,280

57,783

 63,501

 68,392

73,842

수    출

10,027

13,233

20,603

 28,301

35,625

38,484

41,270

44,782

수    입

8,040

9,554

13,818

17,979

22,158

25,017

27,122

29,060

무역수지

1,987

3,679

6,785

10,322

13,467

13,472

14,148

15,722

총외채 (백만불)

 (GDP대비 %)

18,252

74.2%

22,920

74.3%

31,941

74.0%

41,516

74.0%

-

69.4%

-

63.9%

-

60.3%

-

56.5%

FDI(백만불)

(GDP대비 %)

2,164

8.8%

2,213

7.2%

5,392

12.5%

1,721

3.1%

2,281

3.2%

2,235

2.7%

2,167

2.3%

2,300

2.2%

재정수지

(GDP 대비 %)

1.4

2.9

2.6

6.0

5.6

3.3

2.6

2.6

실  업  율(%)

 3.6

 1.8

 1.5

 0.6

 -

 -

-

 -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국립은행)

 

무역상대국:

 대외 교역은 원유·비철금속 등 광산물 수출, 기계장비 수입 등을 중심으로 2004년도에 전년 대비 54% 증가하였으며,  2005년에도 전년동기 대비 37.5% 증가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ㅇ 주요 수출국(비중) : 스위스(19.8%), 이태리(15%), 러시아(10.5%), 프랑스(9.6%), 중국(8.72%) 등

ㅇ 주요 수입국(비중) : 러시아(38%), 독일(7.5%), 중국(7.2%), 미국(6.9%),  크라이나(4.9%), 이태리(3.9%), 일본(3.5%), 한국(1.5%) 등


ㅇ 카자흐스탄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 중앙아 투자액 누계중 약 80%가 유치됨.  

 

카자흐스탄 대외교역 규모 (단위: US$)         

 

구분

교역량(증가율)

수출(증가율)

수입(증가율)

교역수지(증가율)

2004년도

328.77억(54%)

200.96억(56%)

127.81억(52%)

+73.15억(62%)

2005년도

452.01억(37.5%)

278.49억(38.6%)

173.52억(35.8%)

+104.96억(43.5%)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연 도

투자액 (단위)

96

97

98

99

2000

2001

2002

2003

2004

외국인직접투자(백만불)

1,673.7

2,106.9

1,232.8

1,852.1

2,781.2

4,556.6

4,105.8

4,595.7

8423.7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최근년도 경제지표

구   분

2004년

2005년

2006년

G D P

9.4% 증

9.4% 증

8.3% 증(잠정집계)

산업생산

10.1% 증

4.6% 증

0.5% 증

(2006.1월기준 전년동기대비)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 (이상 2005-2008년 자료)

 


석유를 비롯하여 많은 지하자원을 가지고 있는 자원부국으로서,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매년 15-20%씩 늘어나고 있는 석유생산 및 이에 따른 경제활성화에 따라 2000년이후 연평균 10%에 달하는 경제성장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향후 15년간 석유·가스개발분야에만 650-700억불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앞으로도 계속 활발한 경기상승이 예상됩니다.

 현재 카자흐스탄의 경제구조는 피라미드형이 아닌, 상류층과 하류층의 극단적인 이분구조이다. 상류층의 경우 한국의 상류층과 비슷한 정도의 소득을 올리고 있으며, 하류층의 경우 많게는 $300 정도의 수입을 가지고 생활하고 있다. 식료품의 경우 한국보다 싼 편이나, 그 외의 모든 물가는 한국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한국보다 비싼 경우도 있다.   자본주의가 유입되면서 서서히 중산층이 생겨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하나의 계층이 생겼다고 평가할 수 없는 상황이다.

2000년 현재 경제성장률은 9.6%이고 수출은 91억 4000만 달러, 수입은 50억 5000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품은 연료·석유제품,철,동 및 동제품이고 수입품은 기계류,연료·석유제품,전기제품 등이다. 카자흐스탄은 구소련연방 붕괴 후 어려운 상황 속에서 민영화 등을 중심으로 한 경제개혁을 추진하였고,1997년과 1998년에 2년 연속 플러스성장을 이루는 등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다. 1998년에는 농업 및 중공업의 침체, 러시아의 금융 위기에 의하여 다시 마이너스성장으로 바뀌었지만 1999년 플러스 성장으로 올라섰다.   

2002년 까작스딴의 국내 총생산(GNP)은 3조 7천 4백 72억 텡게를 기록했다. (2001년에 비해 9.5%나 증가) GNP의 성장은 산업에서 9.8% 농업에서 2.7% 건축에서 19.3%의 생산성 증가에 의해 비롯되었다. 2004년에 카자흐스탄 국민총생산(GNP)이 7%나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1인당 GNP는 2135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지난 9일 아스타나에서 열린 정부 회의 도중 카이라트 켐림베토브 경제 및 예산기획부 장관이 내년 공화국 예산안을 제출하면서 밝혔다. 켈림베토브 장관에 따르면 국가 예산을 편성할 때 국제원유가를 배럴당 20내지 28달러로 고려했다고 한다.

 

 카자흐스탄 경제 보고서 (2002년 보고서)

1. 경제환경

  • 카자흐스탄은 광활한 국토와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2000.6월 동카샤간(East Kashagan) 지역에서의 대규모 유전발견으로 카자흐스탄은 세계 5대 산유국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음.(카자흐스탄의 현 추정 매장량은 120억톤으로, 이란에 버금가는 매장량임)
  • 또한 석유 외에 금, 구리, 망간 및 철광석 등도 세계 10위 이내의 매장량을 가지고 있으며, 아연, 납, 알미늄, 티타늄, 크롬, 니켈, 주석, 바니디움, 망간 등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생산량을 보유하고 있어 이들 제련과정에서 생산되는 레늄, 오스뮴, 칼륨은 전세계 생산량의 50-80%를 점하고 있음.
  • 농업분야에 있어서 카자흐스탄은 CIS 국가중 최대 곡물수출국가로 소연방시는 생산량의 3분의 2까지 수출한 바 있으나, 독립이후 농업시스템의 붕괴와 영농자금 부족 및 농기계 노후화 등으로 곡물생산량은 독립이전 대비 절반으로 감소하였음.
  • 그러나 광활한 국토에 비해 인구가 너무 적어(1,500만) 소비시장이 협소하며, 도시인구 집중도(알마티, 아스타나를 제외하고는 인구 30만 이상의 도시가 없음)가 매우 낮은 반면, 도시간의 거리가 멀어(도시간 거리는 평균 1,000km 내외임) 물류이동이 용이치 않음.
  • 또한 카자흐스탄은 바다를 접하고 있지 않아 자국산 원자재의 수출에 많은 물류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소비재 및 자본재도 가격이 높을 수 밖에 없음.
  • 그러나 이러한 소규모 인구와 고물류비용이라는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카스피해연안과 내륙에 부존하는 다량의 석유와 지하자원은 카자흐스탄의 미래를 밝게 해 주고 있으며, 정치적 개방체제, 시장경제원칙의 도입에 따라 꾸준한 경제발전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음.

 

2. 경제정세

가. 개관

  • 카자흐스탄 경제는 98년의 경기침체를 벗어나 99년에는 2.7%, 2000년은 9.5%, 2001년은 13%의 고성장을 이룩, 2000년도 이후 고성장이 지속되고 있음.
  • 2000년도부터의 높은 성장률은 원유 및 국제 원자재 가격의 지속적 상승, 대폭적인 수출 및 외국인 투자 증대, 석유 비철금속 등 자원 산업 및 제조업 활성화에 기인함.
  • 또한 안정된 환율을 바탕으로 인플레이션도 2000년의 13.2%에서 2001년의 6.4%로 감소하였으며 대외무역도 계속 증가 추세에 있음.
  • 재정면에서도 2000년도의 0.1% 흑자에 이어 2001년도에도 0.9%의 적자를 기록 건실한 재정을 유지하고 있으며, 총외채도 GDP대비 감소 추세.
  • 카자흐 정부는 2002년 경제성장 목표를 7%로 책정하고 있으며, 국제 원유 및 원자재의 수요 및 가격이 안정될 경우 동 목표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예측.

나. 주요경제 지표

연 도
구분 (단위)

96

97

98

GDP

명목 (10억텡게)
(억 불)
실질성장율(%)
GDPper capital

1,415.7
(210)
0.5%
$1,350

1,672.1
(222)
1.7%
$1,446

1,773.3
(221)
-1.9%
$1,481

월평균임금(불)

101.6

113.2

123.7

인플레이션(%)

39.3

17.4

7.1

평균환율(1불당 텡게)

67.3

75.4

78.3

무역

12,918.4

14,074.8

12,542.1

수출(백만불)

6,291.7

6,899.2

5,870.6

수입(백만불)

6,626.7

7,175.6

6,671.5

무 역 수 지

-335.0

-276.4

-800.9

총외채 (백만불)
(GDP대비 %)

5,779.2
27.8%

7,726.0
34.9%

9,921.1
45.0%

외국인직접투자(백만불)

1,673.7

2,107.0

1,233.2

재정적자(GDP대비%)

-4.2

-3.8

-4.2

공식실업율

4.2

3.8

3.7

 

연 도
구분 (단위)

99

2000

2001

GDP

명목 (10억텡게)
(억 불)
실질성장율(%)
GDPper capital

2,016.5
(169)
2.7%
$1,100

2,597.0
(182)
9.5%
$1,223

3,302.6
(220)
13%
$1,467

월평균임금(불)

94.2

94.8

118.5

인플레이션(%)

8.3

13.2

6.4

평균환율(1불당 텡게)

119.5

142.1

150.9

무역

11,633.3

14,245.6

17,736

수출(백만불)

5,988.5

9,193.5

9,276

수입(백만불)

5,644.8

5,052.1

8,460

무 역 수 지

343.7

4,087.4

816

총외채 (백만불)
(GDP대비 %)

12,062.8
71.2%

12,327.9
70.8%

13,306.2
66.1%

외국인직접투자(백만불)

1,849.9

2,098.2

3,997.7

재정적자(GDP대비%)

-3.5

+0.1

-0.9

공식실업율

3.9

3.7

2.9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다. 2001년도 평가

  • 카자흐스탄은 2000년 9.5%의 높은 실질성장율에 이어 2001년도에도 13%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 주재국의 높은 성장률은 외국인 직접투자의 대폭증가(전년대비 48% 증가), 국내수요 및 농업생산량 증가, Small business 활성화에 기인함.
  • 무역분야에서는 전체 교역량이 전년대비 25% 증가하였으나 수출은 전년 수준을 유지한 반면, 수입은 70%나 대폭 증가되었음.

    - 수출감소는 작년 하반기부터의 아프가니스탄 사태로 인한 세계경기 둔화로 석유 및 국제원자재 수요감소와 가격하락에 기인함.

    - 수입의 대폭적인 증가는 국내제조업 기계설비(전체수입액의 42%) 및 제조 원자재 수입증가와 호경기로 인한 소비재 수입증가가 주원인임.

  • 외국인투자는 주로 석유산업 및 교통·통신분야에 집중되어 있음.
  • 국가재정면에서도 GDP 대비 0.9%의 재정적자를 기록 작년 0.1%의 흑자 이후 건실한 재정을 유지하고 있음.
  • 주재국 화폐 Tenge는 미불화 대비 연평균 2.8%의 가치하락에 그쳐 매우 안정되어 있으며, 총외채도 GDP 대비로는 감소하였음. (2000년 총외채 : GDP 대비 70.8%, 2001년 : 66%)
  • 국내 호경기의 영향으로 대폭적인 임금인상과 실업율이 감소되는 등 경제지표 전반이 호기록을 나타내었음.

 

3. 아국과의 무역.경제관계

가. 연도별 무역현황                                                        (단위 : 천불)  

           연도

구분

95

96

97

98

교역규모

126,298

230,031

175,623

134,882

수      출

52,802

105,368

922,123

104,016

수      입

73,496

124,663

83,491

30,866

무역수지

-20,694

-19,295

+8,632

+73,150

 

           연도

구분

99

2000

2001

교역규모

107,963

131,766

164,139

수      출

56,606

82,385

108,003

수      입

51,357

49,381

56,136

무역수지

+5,249

+33,004

+51,867

                                                          <한국 관세청 자료>

  • 92년 외교관계 수립후부터 실질적인 무역이 시작되어 96년도에는 양국 무역액이 2억3천만불에 달했으나 97년부터 감소추세에 있음.
  • 99년도 대주재국 수출은 전년대비 54% 이상 대폭 감소하였는바, 이는99.4. 주재국의 변동환율제 채택으로 인한 주재국 화폐의 대폭적인 평가절하로 우리나라 상품의 가격경쟁력이 크게 떨어졌고, 카자흐스탄의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소비재 수입이 대폭 감소하였기 때문임.
  • 2000년 대 주재국 수출은 원유 및 국제원자재 가격상승과 국내경기 회복에 따라 전년대비 45% 증가하였음.
  • 2001년 대주재국 수출입은 주재국의 경기호조에 힘입어 전년대비 증가 추세임.

나. 진출기업 현황

(1) 삼성물산

  • 회 사 명 : 카자흐스탄 구리광업공사(KKC: Kazakhstan Copper Corporation)
  • 형 태 : 대리경영 현지법인(삼성지분: 42%, 정부보유지분: 35%, 기타: 23%)
  • 업 종 : 구리채광 및 제련
  • 초기투자액 : 2억불(추가투자 5천만불)
  • 고용규모 : 직접고용인력 약 6만명
    - 주재국의 제1의 고용사업체로 인구 12만명 규모의 Zhezkazgan시와 인구 6만명 규모의 Balkhash시 대부분의 인구를 부양하고 있음.
  • 생산 및 매출현황
    - 구리제품(순도 99.99%) : 연간 약 35만톤(수출액: 약 6억불)
    - 아연 7만톤 및 납 1만 3천톤
    - 금 2.4톤 및 은 350톤

(2) LG전자 법인

  • 회 사 명 : LG Electronics 알마티 카자흐스탄
  • 설 립 일 : 1997.10.03
  • 형 태 : 단독투자
  • 투자규모 : 1,300만불(순자본 투자)
  • 업 종 : TV, 세탁기, 비디오, 오디오 조립 및 판매
  • 고용규모 : 250여명
  • 생 산 량 : TV(37만대), 세탁기(5만), 비디오 및 오디오(각 10만)
  • 매 출 액 : 연 1억불

(3) 신동아 TEA 공장

  • 회 사 명 : Almaty Tea LLC
  • 설 립 일 : 1997. 9. 인수
  • 형 태 : 단독투자(초기 합작투자에서 단독투자로 변경)
  • 투자규모 : 800만불
  • 업 종 : tea 제조 및 판매
  • 고용규모 : 150여명
  • 생 산 량 : 연 4,500t 생산
  • 매 출 액 : 연 2,500만불

(4) USKO

  • 회 사 명 : USKO International C.J.S.C
  • 설 립 일 : 1992. 2. 18
  • 형 태 : 단독투자
  • 투자규모 : 300만불
  • 업 종 : 건설, 창고업, 보일러제조, 사무용가구,제조 및 판매 등
  • 고용규모 : 820여명

(5) 대우자동차

  • 회 사 명 : 대우알렘(DAEWOO ALEM)
  • 설 립 일 : 1995.03
  • 형 태 : 합작투자(대우지분 50%)
  • 업 종 : 자동차 판매, 조립서비스
  • 투자규모 : 100만불
  • 매 출 액 : 500만불(연간 승용차 500-600대)

(6) 기 타

  • 삼성전자가 현지법인(1인지사)을 설치 고가품 위주의 가전제품 판매전
    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우진쉬핑, 국제해상 등이 운송업에 진출해 있음.
  • 기타 봉제, 항공운송, 무역, 관광, 유흥업 등 다양한 분야에 소자본투자의 회사 및 자영업자 30여개소가 진출해 있음.